전체메뉴

'잠시 멈춤' 尹 민생토론회, 광주서 재개할까?

입력 2024.05.06. 18:39
총선으로 중단…이르면 5월 중 개최 전망
광주·전북 등 '미개최 지역' 우선순위 예상
AI 2단계 예타 면제·도시철도 지원 '절실'
5·18 기념식 맞물려 '시기' 조율 전망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14일 전남도청 왕인실에서 열린 제20차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광주·전남사진기자단

광주지역 민생토론회가 언제 열릴지를 두고 시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선거 개입 논란에 총선을 앞두고 잠시 중단됐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가 강한 만큼 곧 재개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참석이 예상되는 만큼 민생토론회도 시기를 비슷하게 조율할 것이란 예상도 내놓는 등 지역 여론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특히 광주는 AI(인공지능) 집적단지 2단계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나 도심 교통 문제를 둘러싼 현안이 산적한 데다 '대유위니아' 발(發) 전자산업 위축 등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대통령의 지역 민심 청취가 절실하다.

6일 광주시와 정치권 취재를 종합하면, 대통령실이 이르면 이달 중 민생토론회를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다시 시작하는 민생토론회는 실질적으로 쌍방향 소통에 중점을 두는 식으로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민생토론회가 '보따리를 푸는 식'이라면 앞으로 진행될 민생토론회는 지역 민생을 듣고 실효성 있는 지원을 뒷받침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란 관측이다.

윤 대통령은 연초 '민생 중심'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 각지를 돌며 총 24차례 지역 현안을 청취하고 그에 대한 지원 방안을 밝혀왔다. 그러나 총선을 앞두고 '관권 선거'라는 비판이 불거지자 지난 3월24일을 마지막으로 중단한 상태다.

그러면서 광주를 비롯해 전북과 제주, 경북에서는 민생토론회를 열지 못했다. 대통령실과 광주는 총선 전 개최를 논의하기도 했지만, 전남과의 공동 개최에 입장 차를 보이면서 총선 후로 미뤄졌다. 윤 대통령이 총선 후에도 민생토론회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만큼, 광주에서 열리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강하다.

김미남 전 청와대 행정관은 "대통령으로서도 광주만 안 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클 것이다"면서도 "(이전 개최 결렬로 인해) 광주시장의 전향적 발언이나 지역 이슈가 생기는 식의 적절한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을 듯하다"고 분석했다.

광주시는 일찌감치 대통령실과 민생토론회 관련, 지역 현안을 건의하고 협의해왔다. 가장 시급한 사안으로 AI 집적단지 2단계 사업 예타 면제와 광주 도심권 지하철도 지선 국비 지원을 건의해 상당 부분 협의를 진척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립현대미술관 광주관 건립도 의제 중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

최근 대통령실 민생특별보좌관에 윤 대통령의 측근 인사인 전 국민의힘 광주시당 위원장이 임명된 것도 긍정적이다. 그간 광주시가 대통령실과의 소통에 다소 애를 먹어왔지만, 주 특보를 연결고리로 해서 다소 원활한 협의가 가능하지 않겠냐는 기대다. 주 특보 측 또한 광주 민생토론회가 진행될 수 있도록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이 오는 18일 진행되는 5·18민주화운동 44주년 기념식에 참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지역 관가에서는 대통령실이 민생토론회와 시기를 맞추지 않겠냐는 예상도 나온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용이나 일정 등을 두고 대통령실과 협의는 멈춰 있는 상태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대통령의 민생 소통에 대한 의지가 분명하기 때문에 광주에서도 조만간 열릴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이건 어때요?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4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

중앙정치 주요뉴스
댓글0
0/300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