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청년 선호 직장 1순위···광주 '국가기관'·전남 '대기업'

입력 2024.06.13. 17:44
직업 선택요인 1순위 '수입'…광주, 안정성보다 개인 성향 우선
두 지역 모두 여성이 직업 가지는 것이 좋지만, 장애요인 '육아'
결혼관 변화…'결혼해야 한다' 비중 줄고 '비혼 동거 동의' 증가
호남지방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호남·제주지역 사회지표로 본 청년의 삶' 인포그래픽.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광주지역 청년들은 직장으로 '국가기관'을, 전남지역 청년들은 '대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아울러 '일과 가정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높아졌으며 결혼보다 동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커지는 등 최근 10년새 청년들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13일 호남지방통계청이 지난 10년간 광주·전남지역 청년들의 변화상을 조사한 '호남·제주지역 사회지표로 본 청년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 청년들의 주요 선호 직장 1순위는 '국가기관'(25.5%)이었다. 그다음으로는 '공기업'(24.4%),'대기업'(21.6%), 중소기업·벤처기업·외국계기업 등을 포함한 '그 외'(15%), '자영업·창업'(13.4%) 순이었다.

10년 전에도 국가기관(30.3%)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지만 지난해에는 4.8%p 감소했다.

또 청년들의 직업 선택요인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수입'(37.8%)이었다. 명예·명성, 보람·자아실현 등이 포함된 '그 외'는 24.8%, '적성·흥미' 21.3%, '안정성'이 16.1%로 뒤를 이었다.

10년 전에는 수입(37.6%) 다음으로 안정성(31%)이 높았는데, 지난해에는 명예나 보람 등 개인적 성취 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한 일과 가정의 균형을 원하는 비율은 10년 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났다. 2013년에는 '일 우선', '일·가정 균형' 응답 비율은 각각 61.9%, 29.5%로 일을 우선시 하는 비율이 높았다. 반면 지난해는 '일 우선' 32.3%, '일·가정 균형' 46.8%로 워라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한층 강해졌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호남·제주지역 사회지표로 본 청년의 삶' 인포그래픽. 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전남지역 청년은 가장 선호하는 직장으로 '대기업'(23.9%)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국가기관'(23.5%), '공기업'(23.4%), 중소기업·벤처기업·외국계기업 등을 포함한 '그 외'(15.6%), '자영업·창업'(13.6%)이 뒤를 이었다.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국가기관은 10년새 17.7p 하락해 2순위로 밀려났다.

직업 선택요인에서는 광주와 마찬가지로 '수입'(35.7%)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안정성'이 27.7%, 명예·명성, 보람·자아실현 등이 포함된 '그 외' 23.3%, '적성·흥미' 14.3% 순으로 광주지역 청년들과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 직업에 관련된 질문에서는 광주·전남 청년 모두 '여성이 직업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87.2%, 86.5%로 압도적이었다.

여성 취업의 큰 장애요인으로는 광주와 전남 각각 43.6%, 42.4%가 '육아부담'을 꼽았다.

전반적인 일자리 만족도는 광주 38.4%, 전남 33.4%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전 23.2%, 25.4%보단 만족도가 각각 15.2%p, 8%p 증가했다.

광주·전남 청년들의 결혼관도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광주(52.8%→48.7%)와 전남(60.9%→35.7%) 모두 10년 전보다 감소한 반면 '비혼 동거에 동의'하는 비중은 광주(56%→82.1%)·전남(63%→77.1%) 모두 증가해 결혼보단 동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이건 어때요?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

사회일반 주요뉴스
댓글1
0/300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