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동안 의심 신고 6건 모두 음성…확산세 꺾이나
방역당국 "항체 형성 4월 초, 종식 선언 4월 중하순"
생축 이동금지, 차량 지역지정제 등 특별대책 마련[영암=뉴시스] 김혜인 기자 = 전남에서 첫 구제역이 발생한 14일 오전 영암군 도포면의 한 구제역 발생 소 농장에서 방역 당국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2025.03.14. hyein0342@newsis.com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전남 축산 농가를 덮친 구제역이 확산세가 꺾이면서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해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이틀 연속 확진 사례가 발생하지 않은 데 따른 것으로, 방역 당국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면서도 잠복기와 항체 형성기 등을 감안할 때 긴장의 고삐를 늦출 수 없고 구제역 종식까지는 3∼4주 더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체 특별방역 대책도 내놓았다.
23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날 영암 3건, 무안 1건 등 모두 4건의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으나 정밀검사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21일 영암 시종과 군서에서 발생한 2건의 의심 사례도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틀 연속 '확진 제로'가 이어진 셈이다.
전남에서는 지난 13일 영암 도포 한우농장에서 첫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14일 3건, 15일 1건, 17일 3건, 18일 2건, 19일 2건, 20일 1건의 구제역 감염 농장이 발생했다. 수치상 진정세가 뚜렷하다. 영암과 무안 이외 지역으로의 확산 사례도 없어 '가두리 방역'과 '퍼붓기식 소독'이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그러나 "안심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반응이다.
의심신고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시·군 최초 발생농가 3㎞내 방역대는 지난 15일 백신접종이 완료됐으나 22개 전체 시·군에 대한 접종은 지난 21일 마무리돼 4월 초순까지는 긴장을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구제역 백신 항체 형성 기간은 소의 경우 짧게는 1주일, 길게는 2주 정도로 보고 있다.
구제역 종식까지는 갈 길이 더 멀다. 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종식선언은 마지막 살처분 시점으로부터 3주일이 지난 뒤 방역대 내 전수조사 결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야 비로소 가능하다.
전남의 경우 랜더링(이동식 열처리)까지 감안하면 살처분 종료 시점은 23일로 예상돼 4월13일까지 추가감염이 없고 방역대 내 100% 청정이 확인돼야 종식 선언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