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전남도당이 초등학생과 청소년 대상으로 100원버스의 전면 시행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의당 전남도당은 11일 오전 전남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전남도는 재정지원 강화를 통해 초등학생과 청소년을 위한 100원버스를 전면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도당은 "서울시는 내년 1월 대통교통 무제한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사업을 실시키로 했으며, 정의당은 월 3만원 프리패스 도입을 위해 전국 광역시·도에서 조례 제정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며 "해당 문제는 민간회사나 기초지자체의 책임을 넘어 정부와 광역지자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 전남도의원(정의당·비례)이 전남도에서 제출받은 '시·군별 대중교통(버스) 재정 지원 현황(2022년)'에 따르면 총 재정지원금 1천446만3천300만원 중 74%인 1천080만4천400만원이 지출됐다. 이 중 전남도는 총 재정지원금 중 18% 상당인 255만3천800만원을 적자노성과 저상버스 구입비로 지출했고, 정부는 고작 8%인 110만4천900만원을 벽지노선과 저상버스 구입비로 지출했다.
도당은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운영에 있어 재정적 부담의 대부분이 기초지자체에 맞겨져 있는 실정"이라며 "이렇다보니 공영제를 시행 중인 신안군이 무상교통을, 고흥군이 50원버스를, 목포·여수·순천·광양·보성·영암·무안·진도·강진군이 100원버스를 도입 중인 반면 나머지 11개 시·군은 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중교통은 도민들의 이동권을 담보할 공공의 영역"이라며 "정부와 광역지자체의 재정지원 의무를 높여 그 책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시내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이다"며 "또 가계 소비지출에서 16.4%를 차지하는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다가오는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도로 운송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매우 실효적인 방법인 만큼 전남의 22개 시·군에 100원버스 전면 도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