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군공항 이전 문제를 이재명 정부에서 실질적인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광주·전남이 정부 군 공항 TF에 주도적 대응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달라진 환경에서 지역이 지역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하고 정부의 결단을 이끌어내는 주도적인 모습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간의 개별적이고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정부 TF에 대응할 상시적인 실무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역 단체장들이 과거처럼 자기 정치에 매몰돼 수 싸움이나 할 경우 자칫 임기 초라는 골든타임을 놓칠 수 크다는 지역사회 위기감에서다.
이재명 대통령의 광주 타운홀 미팅 후 대통령실 직속으로 태스크포스(TF) 발족을 눈앞에 두고 있는 등 어느 때보다 현실적인 문제해결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다.
문제는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이 각자의 개별 TF를 구성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이들이 지금껏 불협화음으로, 지역미래보다 저마다의 자기정치로, 포퓰리즘에 기대왔다는 점에서 기대보다 우려의 시선이 강하다. 이들 두 광역과 기초 지자체가 각자 TF 대응팀으로 독자 행보에 나선 것은 또다시 자기 정치를 위해 각자의 진지 구축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대통령이 직접 챙기고 나선 절호의 환경에서, 정작 당사자라 할 단체장들이 또다시 각자 행보, 자기 정치로 절체절명의 기회를 날려버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이는 광주·전남의 미래를 짓밟는 범죄나 다름없다.
자칫 정권 출범 초기라는 황금 같은 시기를 놓칠 경우, 군공항 이전은 다시 국정의 후순위로 밀려나 동력을 잃게 될 것이 자명하다는 점에서다.
이같은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상시 협의체를 구성해 기본 토대를 내부에서 만들어 정부 추진에 동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모든 사안에 합의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이견을 좁히고 공동의 대응 논리를 마련해 정부 TF 속도를 높여야 한다.
군공항 이전 문제는 단순히 낡은 시설 하나를 옮기는 사업이 아니다. 이는 AI, 미래 에너지 등 광주·전남이 함께 열어가야 할 미래 먹거리 사업들과도 맞물린 상생 협력의 시금석이다.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의 태세 전환을 촉구한다.
처분이나 기다리며 자기정치에 매몰되는 우를 다신 범해선 안 된다. 하루빨리 상시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대응으로 지역민께 응답하기 바란다. 대전환의 출발선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