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설] 산불진화 전문인력 양성,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무등일보 입력 2025.03.26. 18:07

경남 산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희생자들이 산불 진화 전문인력 양성을 선고하는 양상이다.

진화대원들은 전문교육을 받지 못한 평범한 60대들이었고, 심지어 이들을 보호할 장비 하나 변변치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고도의 체력과 기민한 판단력, 상황 대응을 요하는 전장과도 같은 산불 진압에 고령의 비전문가들이 투입된 것이다.

예고된 인재로, 사실상 국가가 조장한 사회적 타살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창 산불 현장 피해자 중 세 명이 전문 소방관이 아닌, 임시로 고용된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대원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산불진화대원은 광역 자치단체가 총괄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인원을 모집해 교육을 맡는다. 문제는 단 10시간 남짓의 이론 위주 강의가 전부인 수준이다.

산불재난 특수진화대라는 정예 인력이 있긴 하다. 허나 광주·전남 전역을 담당하는 특수진화대가 겨우 23명에 불과하다. 고령의 일반 진화대원 들이 현장에 나가는 이유다. 그러나 산불이 점점 대형화, 장기화되고 있는 기후 위기의 시대에 매번 소방력과 체력만으로 불길에 맞설 수 없다.

정부는 이번 대형 산불 과정에서 발생한 국민 희생을 뼈아프게 반성해야 하기 바란다.

전문 산불 진화인력양성과 제도적 기반 정비에 대한 절박한 신호나 다름없다. 단기 고용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고령 대원을 불길에 내모는 현실은, 국가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낸다.

전문성 강화의 핵심은 예산이다. 예산 핑계로 구조적 문제를 방치하는 행태는 국민 희생을 계속 방조하겠다는 것이다.

산림청과 지자체는 현실을 직시하고, 산불 대응 인력 전문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길 촉구한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댓글0
0/300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