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가까스로 다가온 국립전남의대 설립이 전남의 소지역주의에 갇혀 좌초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거세다.
무안공항이 님비(NIMBY)에 갇혀 다른 국제공항 대비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면, 국립의대는 핌피(PIMFY)에 유치 기회마저 날려버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30년만의 기회를 살리기 위해 전남지역 사회의 총화, 갈등조정력이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청된다.
지자체는 물론 정치인, 관계 기관, 관련분야 전문가, 시민사회단체가 함께 얼굴을 맞대고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가는 총력체제, 갈등조정력이 절실하다. 더 이상 소지역주의나 정치인들의 사적 이해관계 때문에 지역사회 미래를 날려버리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의대 유치를 희망하는 대학과 지자체, 정치인들이 벌써부터 핌피에 열을 올려 갈등의 불씨만 제공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여당의 총선참패로 의대 신설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인데도 전남이 동·서부로 갈려 자신들에게 유리한 해석만 내보이며 갈등 재연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는 국립의대의 요건으로 지역 내 의료체계 완결성, 도민 의료 혜택, 지역 상생발전,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한 선정 등 네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허나 목포대와 순천대가 자신들 장점만 강조하는 등 어느 대학도 지역 의료 체계 완결성은 살피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여기에 순천시와 목포시·무안군 등 지자체도 '의료 완결성' 대책은 없이 당위성과 필요성만 강조하면서 갈등을 증폭시킨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는 의료완결성이 국립의대 신설의 핵심이라는 입장이다. 도민들이 골든타임 내에 적절한 서비스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례가 많았다. 국립중앙의료원의'2022년 공공보건의료 통계'에 따르면 응급실을 1시간 내에 도달하는 비율이 서울은 90.3%인데 비해 전남은 51.7%다. 매년 70만 명 이상의 원정 진료에 따른 유출비용만도 1조5천억 원에 달하는 지경이다.
전남 지자체와 정치인들은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반드시 의대유치를 성사시키기 바란다.
전남국립의대는 비수도권 국민의 건강권 확보, 의료가 시장에 내던져진 우리사회에서 최소한의 의료공공성의 상징으로, 섣불리 좌초돼선 안될 일이다.
자칫 정치인들이 사적 이해로 30년만의 기회를 날려버리는 공멸의 함정에 도민을 끌어들여선 안 될 일이다. 갈등조정역량은 전남 정치인 앞에 놓인 당면 과제다. 잘 풀어내길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