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면에 걸쳐 걸출한 문인들이 장성에서 배출된 데에는 한양을 왕래하는 관문이었던 지리적 환경과 산고수려(山高水麗)한 자연이 바탕이 됐습니다."
변재섭 장성문인협회(이하 '장성문협') 회장은 "'문불여장성'이 탄생할 수 있는 배경을 짚어보기 위해서는 백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성과 고창, 정읍의 경계에 있는 방장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백제 가요 '방등산가'는 가사 내용은 전해지지 않지만 장성 문학의 뿌리로 볼 수 있다. '방등산가'로 미루어보아 알 수 있듯, 장성의 수려한 자연환경이 문인들의 창작 활동에 일조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문헌으로 전해진 작품을 근거로 한다면 '자연가' 등 많은 시조 작품을 남긴 하서 김인후를 비롯해 고봉 기대승, 노사 기정진을 그 시초로 한다. 이 외에도 장성은 마을마다 전해져오는 민요 또한 풍성하다.
변 회장이 이끌고 있는 장성문협은 1989년 창립된 장성문학회에서 출발했다. 기관지 '장성문학' 발간을 비롯해 장성문학상 시행, 장성문학대관 발간 등 장성문학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문학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장성문협은 70여명의 회원이 활동을 펼치고 있다. 종합 반연간지 '장성문학'은 지난해부터 상반기와 하반기 두 권을 발간하며 시, 시조, 동시조, 동시, 동화, 수필, 소설 등을 게재한다.
문학을 오롯이 즐길 수 있는 연례행사와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진행한다. 지난해에는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황룡강 서삼교 장미터널에서 시화전을 진행했으며, 설치된 시화는 연중 전시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5월에는 공주 나태주풀꽃문학관을 방문해 나태주 시인의 문학세계를 들여다보는 문학기행을 시행하고 10월에는 관내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시낭송대회를 개최했다. 회원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활동들은 올해도 이어질 예정이다.
변 회장은 "장성 문학은 한 가지 분야가 아니라 여러 장르에서 수준 높은 작품들이 많이 생산된 것이 특징"이라며 "작품의 질과 양에서 두루 수위를 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문불여장성'의 맥을 잇기 위해 장성문협 회원들과 더욱 활발한 창작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변 회장은 지난 2023년 한국문인협회 장성지부 회장으로 선임됐다. 장성문협 회장이자 시집 '사과다방' 등 4권을 펴낸 시인으로서 활발히 작시 활동 중이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