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쿠데타에 맞선 정선엽 하사의 정신이 45년 지금 시민들에게도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45년 전 12·12 군사반란에 맞서다 목숨을 잃은 고(故) 정선엽 하사의 추모식이 그의 모교인 광주동신고등학교에서 열렸다. 추모식에 참석한 졸업생들은 정 하사의 의로운 죽음을 기리는 한편 최근 일어난 12·3 계엄 사태에 대해서도 시민들의 행동에 찬사를 보냈다.
광주동신고등학교 총동창회는 12일 오전 동신고 교내에 위치한 동신인민주화운동기념비 앞에서 '의로운 동문 7회 정선엽 하사 45주년 추모식'을 열었다.
추모식에는 동신고등학교 졸업생과 3학년 재학생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1956년 영암에서 태어난 정 하사는 조선대학교부속중학교와 동신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에 입학 후 1학기를 마치고 군에 입대했다.
1979년 12월 13일 새벽,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1공수특전여단이 국방부를 향하던 상황에서, 당시 전역을 3개월 앞둔 병장이던 그는 후임 대신 요충지인 B2 벙커를 지켰으나 공수부대원의 사격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향년 23세였다.
정 하사는 2022년에서야 전사자로 인정됐으며 올해 병장에서 하사로 추서됐다. 그의 죽음은 지난해 11월 영화 '서울의 봄'을 통해 재조명됐으며 조선대학교는 지난 2월 정 하사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하기도 했다.
동문들은 지난 2017년 모교인 동신고등학교에 그를 기리는 소나무를 식수했으며 지난해에 첫 추모식을 열었다.
이날 추모식에 참석한 졸업생들은 최근 12·3 계엄 사태를 보고 정 하사가 떠올렸다고 입을 모았다.
1회 졸업생인 신길웅 총동문회 명예회장은 "반란군에 맞선 정선엽 하사야말로 민주국가를 수호하는 군인정신의 표본"이라며 "거대한 반란군에 홀로 맞서 외롭게 죽어간 그의 정신이 45년이 지난 지금까지 살아있는 것 같아 가슴이 뿌듯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계엄 사태는 광주가 아닌 서울에서 벌어졌기에 방송과 SNS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은 시민들이 나설 수 있었고, 민주교육을 받은 군인들이 명령에 소극적으로 대응했기에 80년 광주 같은 아픔은 일어나지 않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병태 정선엽추모사업회장은 동신고 재학 시절 정 하사와 함께 흥사단 활동을 한 1년 선배다. 김 회장은 "지난 3일 국회 앞에 계엄군을 저지하려고 모인 국민들의 모습이 곧 45년 전 정선엽 동문이자 44년 전 광주시민이다"며 "최근 충암고 이사장이 윤석열과 김용현 등을 부끄러운 졸업생이라 했는데 우리는 자랑스러운 정선엽 동문의 정신이 이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말했다.
동신고등학교 3학년 김형주 군은 정 하사를 비롯해 민주화 열사로 활동한 졸업생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동신인의 민주화운동' 독후감을 발표했다.
김 군은 "정선엽 선배를 알고 난 뒤, 단순히 학교가 공부하는 장소가 아니라 민주화를 위해 헌신한 선배님들의 꿈이 서린 장소라는 걸 알게 됐다"며 "불의에 저항했던 선배의 고귀한 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