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노동조합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으나 대부분의 승객들이 앱과 문자를 통해 안내를 받아 우려하던 큰 혼란은 없었다. 다만 가족이 대신 예매를 해주거나 현장에서 예매한 일부 승객들은 현장에서 뒤늦게 운행 중단 소식을 듣고 난감해 하는 모습도 보였다.
철도노조 총파업이 시작된 5일 오전 광주 송정역.
대합실 곳곳에 파업으로 인한 일부 열차 운행 중단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고, '운행 정보를 확인해달라'는 안내 방송도 쉬지 않고 울려 퍼지고 있었다.
열차 출발과 도착 정보를 알리는 대형 전광판에는 파업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된 열차편에 붉은색으로 '운행 중지'가 표시됐다.
다만 파업 첫날임에도 송정역 대합실은 큰 혼선없이 차분한 모습이었다. 코레일톡 앱이나 레츠코레일 홈페이지에서 예매를 한 승객 중 파업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중단된 경우에는 사전에 개별 문자메시지와 앱 알림이 전송됐기 때문이다.
광주 송정역 승차권 발부 창구에도 파업 관련 문의를 하는 승객은 많지 않았으나 가족들을 통해 대신 표를 예매했거나 현장 예매한 일부 승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박모(53·여)씨는 딸을 통해 이날 11시 15분 광주송정역에서 익산으로 향하는 ITX 새마을 열차를 예매했으나 역에 도착해서야 운행 중단 사실을 알았다. 운행 중단 메시지가 딸에게 전송됐으나 업무 중인 딸이 박씨에게 미처 전달을 하지 못한 것이다.
박씨는 "파업 사실은 알고 있었는데 그게 내가 탈 열차일지는 몰랐고 안내 문자가 딸에게 가서 알 수 없었다"며 "다행히 평일이고 다음에 오는 열차에 자리가 있어서 11시 50분 차로 갈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역에서 현장 예매 한 김모(80·여)씨는 지난달 25일 광주송정역에 방문해 이날 11시 35분 용산역으로 향하는 KTX 승차권을 발부했다. 현장에서 실물표를 구매했기 때문에 따로 안내를 받을 전화번호를 남기지 않았다. 김씨는 탑승구까지 갔으나 열차가 오지 않자 주변 직원의 도움을 받아 승차권을 교환할 수 있었다.
김씨는 "우리 나이에 핸드폰이나 컴퓨터로 어떻게 예매를 하겠나. 부지런히 미리 와서 표를 끊었는데 한시간 반 넘게 기다려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예매한 열차가 취소되지 않았음에도 정확한 정보가 궁금해 송정역을 찾은 시민들도 다수였다.
김행규(53)씨는 오는 8일 용산역으로 가는 KTX를 예매했으나 운행 중단 열차인지 정확히 확인하지 못해 이날 송정역을 찾았다. 다행히 돌아오는 열차까지 정상운행하는 것을 알았으나 코레일의 안내가 알아보기 쉽지 않았다고 불만을 쏟았다.
김씨는 "정상 운행하는 열차를 예매했어도 오히려 안내가 없으니까 헷갈린다"며 "홈페이지의 안내문을 봐도 너무 파악하기 힘들게 돼 있어서 예매한 열차의 정상 운행 여부를 알려주는 서비스도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한국철도노동조합 호남본부에서는 조합원 2천600여명중 필수 근무 인력을 제외한 1천여명이 총파업에 돌입했으며 코레일 광주본부의 열차 운행률은 60%에 그치고 있다.
호남본부는 이날 오후 광주송정역 광장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갖고 파업 의지를 내비쳤다.
김동구 호남본부장은 "인력이 없어 매년 평균 두명의 철도 노동자들이 죽어가고 있지만 기재부와 철도공사는 정원 감축, 외주화, 민간 위탁을 밀어 부치고 있다"며 "노조는 얼마든지 철도노동자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대화의 문을 열어놓겠으니 기재부와 철도공사의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