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 국가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동구 금남로는 45년 전인 1980년 5월의 광주처럼 2만여명의 시민들의 발길로 가득찼다.
금남로로 발길을 옮긴 이들은 광주전남 정론지 무등일보가 발간한 5·18 특별판을 손에 꼭 쥔 채 전야제 행사를 관람하며 광주 정신을 다시금 되새겼다.
5·18 추모식을 시작으로 5·18 기념행사의 시작을 알린 행사위원회는 이날 '오월 광주, 민주주의 대축제'라는 주제 아래 오전 11시부터 5·18민주광장과 금남로 일대에서 '시민난장', '전국노동자대회', '민주평화대행진', '대동한마당' 등의 행사를 진행했다.
이 외에도 1980년 5월 광주 곳곳을 다녔을 택시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과 당시 운행했던 버스에 탑승할 수 있는 체험존 등을 포함해 체험과 공연·전시·주먹밥 나눔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금남로 가득 채웠다.
1980년 5월 가두시위를 하며 금남로로 행진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은 올해 민주수호·자주평화·사회대개혁·내란청산·평등연대 등 5개 행진단으로 꾸려 이날 오후 4시께 저마다 5·18 사적지인 광주고등학교와 북동성당, 전남대학교, 광주역, 조선대학교에서 모여 행진을 진행했다.
행진에는 5·18희생자 가족, 민족민주열사 가족, 전국의 국가폭력 피해자 가족(제주 4·3, 10·19여순 사건, 대구 2·28항쟁, 부마항쟁),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가족, 사회적 참사(세월호·이태원·제주항공) 유족, 시민사회, 노동·농민단체, 학생 등 총 1만5천여명의 지역민들과 단체가 참여했다.
행진에는 세월호·이태원·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일동 등 다수의 시민사회단체와 일반 시민들이 함께해 45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더욱 뜻깊게 했다.
행진에 참여한 이들은 광주전남 대표 정론지 무등일보가 발행한 특별판을 비롯해 '오월정신 계승', '자주 평화 세상' 등이 적힌 손피켓과 부채 등을 손에 꼭 쥔 채 "국민이 주인이다", "민주주의를 수호하자" 등을 외치며 금남로로 이동했다.
6·3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진행된 이번 5·18 전야제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이 초청한 국회의원들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도 대거 참여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후보는 광주 유세를 끝마친 뒤 전야제 행사에 참여했으며,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마친 김상욱 무소속 의원도 전야제에 참석했다.
올해 전야제 무대는 기존 5·18민주광장이 아닌 금남공원 앞 사거리에서 진행됐다. 수만 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우려한 5·18 행사위원회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교차로의 4방향을 모두 활용하기로 하면서다.
5·18을 의미하는 오후 5시 18분 울려퍼진 사이렌 소리에 맞춰 진행된 묵념으로 시작한 전야제는 1부 오월광주 환영대회, 2부 민주주의 대축제, 3부 빛의 콘서트 등 3개로 나눠 진행됐다.
5시부터 시작된 1부에서는 오월길맞이굿, 민주평화대행진단 금남로 입장, 환영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 등 순으로 진행됐으며, 6시부터 시작된 2부에서는 강기정 광주시장의 환영인사를 시작으로 우원식 국회의장의 5·18항쟁의 연원 연설, 뮤지컬 '봄의 겨울, 겨울의 봄' 공연, 고 양회동 열사 유족 김선희씨의 발언, 오병윤 행사위원장의 오월민주선언, 김형석·이은미의 공연 등으로 진행됐다. 7시30분부터 시작된 3부에서는 노래 공연과 영상 시청 등 방문객 모두가 참여해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됐다.
특히 뮤지컬 '봄의 겨울, 겨울의 봄'은 1980년 5월 광주시민들의 행동과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대한민국의 겨울 광장에 모인 국민들의 이야기가 중첩되는 내용으로 공연돼 5·18을 겪은 세대와 12·3을 겪은 세대를 하나로 이었다.
류성 제45주년 전야제 총감독은 "1980년 광주는 다양한 사람들의 자발적인 연대로 거대한 민주주의의 광장을 만들어냈고, 이는 지난 12·3 비상계엄 사태때도 자발적으로 시민들이 모여 45년 전 광주를 재현해냈다"며 "올해 5·18 전야제는 '오월 광주, 민주주의 대축제'로 기획하고 광주 공동체가 전국에서 달려올 민주시민들을 뜨겁게 환영하는 장으로 준비했다"고 말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영상=손민아기자 minah8684@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