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지자체는 어디일까.
광주·전남지역에서 전기차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지자체는 보성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도 6대 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많은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17일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따르면 올해 광주·전남지역에서는 보성군군이 전기차 보조금(국비+지방비)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성군은 올해 전기차 보조금으로 차종에 따라 승용차는 최대 1천430만원을, 초소형차의 경우 최대 493만원을 지원한다.
전기승용차 보조금을 기준으로 했을 때 보성에 이어 ▲담양·구례·고흥·장흥·강진·영광 1천330만원 ▲해남 1천310만원 ▲화순·영암 1천280만원 ▲곡성·무안·함평·장성·진도·신안 1천230만원 ▲순천·나주 1천160만원 ▲여수 1천150만원 ▲목포·광양 1천80만원 ▲완도 1천30만원 등이다.
전기초소형차의 경우에는 ▲영광 665만원 ▲구례 615만원 ▲보성493만원 ▲고흥·해남 485만원 ▲화순 475만원 ▲장흥·강진 458 등 순으로 최대 보조금 액수가 높다.
자동차회사에서 추가한 지원금까지 합치면 현재 보성에서 더뉴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19인치 구매 시 총 2천902만원(국비·기아차 610만원+지방비 841만원+보조금 1천451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광주시의 경우 올해 전기차 보조금으로 차종에 따라 승용차는 최대 910만원, 초소형차는 최대 320만원을 지원한다.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전기승용차 보조금 액수는 광주가 타 광역시인 부산(860만원)·대구(830만원)·인천(810만원)·대전(830만원)·울산(870만원)보다 많았다.
현재 광주에서 기아 EV3롱레인지 2WD 19인치를 구입하면 총 1천772만원(국비·기아차 565만원+지방비 321만원+보조금 886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지자체별로 전기차 보조금 추가 지원을 실시하고 있어, 해당 사항이 있는 경우 보조금 지원 혜택은 더욱 늘어난다.
광주시의 경우 전기승용차 구매 시 ▲차상위 이하 계층에는 국비 지원액의 20% ▲청년(19세 이상~34세 이하)에게는 국비 지원액의 20% ▲전기택시에는 250만원 ▲다자녀가구에는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원 등을 추가 지원하고 있다.
또 전기화물차는 소형 기준 최대 1천360만원, 전기승합차는 중형 기준 최대 7천만원으로 자동차의 성능과 차량 규모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
보조금을 받은 전기자동차 구매자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8년간 의무운행기간을 준수해야 한다. 의무운행기간 내 폐차하거나 2년 내 다른 지역에 판매하면 보조금 회수율에 따라 보조금을 반환해야 하고, 2년 내 다른 지역 판매 시 광주시의 사전 판매승인을 얻어야 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 액수는 기본적인 수준"이라며 "지자체별로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 광주는 청년에게 국비 지원액의 20%를, 전기택시에는 250만원 등을 추가 지원해 관련 서류 제출 시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