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설] 전남도 인구감소 백약이 무효…국토균형발전 절실

@무등일보 입력 2023.06.08. 18:51

전남도가 인구 늘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로 줄어드는 인구 감소추세를 막지 못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전남도 인구 감소율(3.35%)이 같은 시기 전국 감소율(0.75%)의 4배를 넘어서며 위기감을 안기고 있다.

전남의 이같은 위기국면의 인구 감소는 수도권 블랙홀의 여파로 이를 혁파할 국토규형발전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전남 인구는 2018년 188만여명에서 5년 사이에 3.35%가 감소 181만여명까지 줄어들었고, 올해는 180만명 선도 깨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가장 많은 인구가 감소한 시·군은 목포시로 5년간 1만5천388명이 줄었으며, 인접한 무안군은 5년 새 8천617명(10.51%)이 늘어 전남 22개 시·군 중 유일하게 10%대의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이같은 인구감소는 아동인구 감소에서도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최근 나온 호남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광주·전남 만 18세 미만 아동 인구가 6년 만에 각각 6만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아동 인구는 2015년 29만2천명에서 2021년 23만3천명, 전남 아동 인구는 같은 기간 30만6천명에서 24만9천명으로 줄었다. 아동 가구 수도 광주가 17만5천에서 14만3천 가구로, 전남은 17만6천에서 14만7천가구로 줄어들었다.

전남도는 인구감소를 타개하기 위해 신혼부부·다자녀가정 보금자리 지원, 취업자 주거비 지원, 다둥이가정 육아용품 구입비 지원 등 갖가지 인구 유입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또 청년을 통한 건강한 인구구조 회복 사업, 복합형 생활문화 인프라 조성과 수요맞춤 서비스 제공 사업, 지역자원 연계 교육·소득·삶의 질 보장사업 등을 펼치고 있지만 줄어드는 인구를 막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위기감에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도 인구감소지역대응특별위원회를 구성 전남도와 논의를 확장해가고 있다.

전남 인구감소 현황에 심각한 우려를 전한다.

전남을 비롯한 비수도권의 작금의 인구감소 양상은 이들 비수도권 지역의 문제만이 아니라 는 점에서  정부책임이 막중하다.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수도권에 몰아넣은 망국적인 수도권 블랙홀 상황에서 ‘소위’ 경쟁은 불가능하고, 불공정하다. 

정부가 비수도권 지역의 인구감소 상황을 더 이상 강건너 불구경하듯 해선 안되는 이유다.

윤석열 대통령도 국토균형발전을 다짐한 만큼 진정한 국토균형발전 정책으로 비수도권의 소멸, 비수도권 국민들의 기본권을 확충해가길 당부한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댓글0
0/300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