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이 통합 8년 만에 결국 정치적 환경변화를 넘어서지 못하고 또 다시 분리 수순에 던져졌다. 분리논의가 제기된지 불과 몇개월만에 형식적·절차적 공정의 모양으로 광주전남연구원이 전격적으로 분리되고 있다.
광주전남연구원은 27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연구원 재분리와 관련된 안건을 논의, 분리를 의결했다. 이번 이사회는 광주시와 전남도가 분리 의견서와 함께 최근 각각 진행한 공청회 결과를 제출하면서 열리게 됐다. 재적이사 19명 전원이 참석, 17명이 분리에 찬성하는 등 분리는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광주시는 자체 연구원을 새로 설립하고, 전남도는 기존 광주전남연구원을 승계한 뒤 명칭을 변경해 운영할 예정이다. 결국 열악한 재원과 부족한 연구원, 부족한 연구성과라는 악순환의 굴레를 시·도가 개선에 나서기보단, 이를 빌미로 분리를 강행하고 나선 행태여서 시·도에 비판이 쏟아진다.
현재도 광주전남연구원은 지자체 연구용역을 뒷받침하기에도 빠듯해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논문 등은 거의 참여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적인 고급연구기관으로서 위상 확보는 난망한 현실이다. 이는 경기개발원 등 타 연구원이 풍부한 조직환경을 배경으로 해당 지자체 과제 발굴을 넘어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논문, 관련 기관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등 고급 싱크탱크로서 역할을 해나가는 것과도 비교된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광주시와 전남도는 현 연구원에 대한 과학적인 조직 진단도 없이 주먹구구로 분리를 강행, 진정으로 전문연구기관으로 운영해 가겠다는 의지에 대한 의혹을 자초했다.
특히 시·도는 분리 과정에서 조직진단이나 형식적 여론조사 하나 없이 공청회만 한차례 한 후 전격적으로 이사회를 추진해, 절차정 공정을 가장한 정치적 폭거에 다름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산하기관 통폐합을 하고 있는 광주시는 스스로 정책을 위배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 급변하는 시대, 최고의 전문연구기관도 부족한 마당에 시·도의 일방적인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
시·도의 막중한 책임의식이 요구된다. 연구원 경쟁력 확보만이 답이다. 각 연구원을 전국 단위 상위급의 고급 씽크탱크로 키워내는 일은 지역민에 대한 최소한의 책무다. 지금처럼 열악한 환경에 성과물에나 급급할 경우 시·도 용역사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
전세계적 위기상황에서 전문연구기관의 필요성은 더욱 절절한 만큼 시도의 책임있는 대응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