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공약 중 지역민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수십년간 표류하고 있는 광주군공항 이전이다.
대통령은 공항이전 '국가사업화'로 이전 사업에 가장 큰 걸림돌인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부지는 광주의 4차산업 기술을 망라한 '그린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겠다는 정책을 제시했다.
대통령의 약속대로라면 광주가 그야말로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광주 도시변화 사상 최대의 전환점이 될 것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통령의 국가사업화 밑그림이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국회를 중심으로 이전을 가시화하는 작업들이 전개되면서 수십년 숙원사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최근 대구경북신공항특별법이 국회 첫 문턱인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쌍둥이 법인 광주 군공항이전특별법의 국회 통과 가능성도 커졌다. '기부 대 양여' 방식에 더해 군공항 이전 비용 일부를 정부가 지원토록 하는 광주군공항특별법에 관한 국회 국방위원회 법률안심사소위원회가 내달 5일 열릴 예정이다.
특별법이 통과되면 이전 후보지 선정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다만 막대한 재원 지원을 두고 국방부와 국토부 등 정부 부처 간 이견을 조율하는 것은 여전한 과제다.
이처럼 특별법 통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가면서 또 다른 '걸림돌' 중 하나인 이전 후보지 선정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전 최적지로 여겨진 무안이 반대입장을 보이는 동안 함평 등 여러 자치단체들이 유치전에 나선 것이다.
광주시가 제시한 주민지원사업비만 최소 5천여억원에 달하는 등 광주군공항 이전 사업비만 약 5조7천여억원으로 추산된다. 또 신공항 건설 동안 파급되는 경제적 효과와 군공항 종사자 상주 등에 따른 경제적 기여 등이 예상되고 있어서다.
이전 부지 대책도 빨라질 전망이다. 광주시는 인공지능 등 광주기반의 첨단 기술을 구현하는 시로 만들겠다는 대통령 공약을 토대로 2030년까지 1조6천억원을 들여 100만평에 이르는 부지를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고, 148만평에는 도시문화예술 정원과 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군공항이전 특별법 4월 통과로 광주시민들의 수십년 숙원사업이 해결되길 기대한다.
이와함께 군공항 이전 부지가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광주의 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지구로, 광주뿐 아니라 우리나라 재개발의 선도지구로 자리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 여정에 대통령의 공약, 후속조치가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의 각별한 관심과 배려를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