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영상] 누리호 쐈다···비행은 성공, 궤도 진입은 실패

입력 2021.10.21. 17:45
[누리호 '절반의 성공' 내년 5월 2차 발사]
1조5천억 투입 300개 기업 12년 공들여
기술 이전 없이 전분야 독자개발 큰 성과
세계적 추세 '뉴스페이스시대 개막' 성큼
정부, 민간 발사체 개발·양산 단계적 추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위성을 본궤도로 올리는데는 실패하면서 최종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지만 당초 목표했던 정상궤도내 위성 분리에 성공한 누리호는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위성을 자력 발사해 우주 수송능력을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내년 5월 2차 발사에서 위성을 목표했던 저궤도에 올리는 과제를 남긴 누리호지만 그동안 발사체 개발 기술의 경우 국가간 기술 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상황에서 엔진을 비롯한 전 분야를 독자적으로 개발해냈다는 점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누리호 개발 사업은 지난 2010년 3월부터 진행된 12년 이상 장기프로젝트로 1조9천572억원이 투입됐다. 누리호 프로젝트에는 국내 주요 방산 기업을 비롯해 300여개 기업에서 500여명이 참석했다. 누리호 전체 사업비의 80% 정도인 1조 5천억원은 참여 기업에 쓰였다. 나로호 개발 당시 국내 산업체 집행액은 1천775억원에 불과했다.

누리호 체계 총 조립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맡았고, 엔진 총조립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담당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엔진, 터보펌프, 시험설비 구축 등에 참여했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납품한 75톤 액체로켓 엔진은 누리호의 핵심 부품이다. 발사체가 중력을 극복하고 우주궤도에 도달하는 동안 극한 조건을 모두 견뎌 낼 수 있도록 제작됐다.

누리호 발사대(제2발사대)는 설계부터 제작, 조립까지 현대중공업이 총괄했다. 제2발사대는 기존 나로호 발사대(제1발사대)와는 달리 지상에 엄빌리칼 타워(높이 45m)를 설치해 한국형발사체에 케로신, 산화제 등이 공급 가능하다.

누리호는 개발 초기 설계단계부터 산·연공동설계센터를 구축해 관련 기술 이전과 산업체 기술력 향상을 지원해왔다.

이번 국내 위성 자력발사를 통해 한국형 발사체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국계 우주계획에 따라 우주발사체 산업 육성을 통한 신산업 창출 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인 누리호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서 독자 우주수송능력을 확보하고 국가 우주개발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자력발사 능력 보유국은 9개로, 러시아('57), 미국('58), 유럽(프랑스 등 '65), 중국/일본('70), 인도('80), 이스라엘('88), 이란('09), 북한('12)이 자력 발사에 성공했다.

실용급(무게 1톤 이상) 위성 발사가 가능한 국가는 6개국으로 더 줄어든다. 이스라엘과 이란, 북한은 300kg 이하 위성의 자력발사 능력을 보유했다.

누리호 발사 성공의 주요 성과로는 ▲발사체 핵심 기술 확보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개발·보유 ▲우주발사체 엔진개발 설비 구축 ▲대형 추진체 탱크 제작 기술 보유 ▲독자기술로 발사대 구축 등이 있다.

이번 누리호 발사를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해외에서는 이미 스페이스X, 블루오리진, 버진갤럭틱 등이 정부 주도의 우주 개발 산업을 뒤로 하고 우주 개척에 앞장서고 있다.

정부도 향후 발사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민간 발사체 개발 및 양산 역량을 제고하는 등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위성 분리에는 성공했지만 위성을 제궤도에는 올리지는 못했다. 내년 5월 2차 발사에서는 완벽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면서 "1톤 이상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나라는 6개국에 불과하지만 우리는 해냈다"고 누리호 발사에 대한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우리 기술로 누리호를 개발해 냈다"며 "우주탐사에 과감히 도전해 2030년 달착륙 꿈을 이루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이건 어때요?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3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

사회일반 주요뉴스
댓글0
0/300
Top으로 이동